티스토리 뷰
목차
지역을 살리고 세제 혜택까지 누릴 수 있는 ‘고향사랑기부제’, 알고 계셨나요? 내가 살고 있지 않은 타 지역에도 기부할 수 있고, 그에 대한 풍성한 답례품과 세액공제까지 받을 수 있어 요즘 가장 주목받는 기부 방식 중 하나입니다. 고향을 응원하고, 지역 경제도 살리는 착한 제도! 아직도 모르셨다면 지금이 바로 시작할 때입니다.기부 한도 2000만원까지 확대!
10만원 기부시 13만원( 10만원 세액공제 + 3만원답례품) 을 돌려 받는 기회 놓치지 마세요!
신청(기부) 방법과 절차
고향사랑기부제는 공식 플랫폼인 ‘고향사랑e음’을 통해 온라인으로 간편하게 참여할 수 있습니다. 신청시 몇 가지 주의 점이 있으니 끝까지 꼭 확인해 보세요
1.고향사랑e음 접속
2.회원가입 또는 간편 로그인
3.자치단체에 기부하기 선택- 중요 : [자신의 주소지 지자체에 기부할 수 없습니다].
[신청시 답례품을 제공받음에 꼭 체크하세요.]
4. 지자체 선택 후 안내된 절차에 따라 카드로 기부금을 납부해 주시면 됩니다.
5. 답례품 선택 : 10만원을 기부했으면 30%인 3만원의 답례품을 답례품 포인트로 무료 구매할 수 있습니다. 주의할 점은 자신이 선택한 지자체에서 판매하는 답례품만 구입할 수 있다는 것입니다. 미리 답례품을 선택하고 기부 지자체를 정하는 것도 방법입니다. 저는 작년에 서리태콩을 선택했는데 올해는 여수시에서 만든 여수육수한알제품을 선택해 보았습니다.
5. 기부영수증은 자동으로 발급되어 연말 정산에 적용됩니다.
기부자 혜택 한눈에 보기
항목 |
내용 |
---|---|
연간 기부 한도 | 개인당 최대2 000만원(2025년부터 확대) |
세액공제 혜택 | 10만원까지는 전액 세액공제, 초과분은 16.5% 공제 |
답례품 제공 | 기부액의 30% 내에서 지역 특산물 등 제공 |
지자체 사용처 | 지역 복지, 청년정책, 교육, 문화사업 등 |
주의할 점은?
고향사랑기부제는 자신이 주소를 두고 있는 지자체에는 기부할 수 없습니다. 예를 들어 서울 거주자는 서울 외의 지역에만 기부 가능해요. 또한 답례품은 기부자의 선택에 따라 달라지며, 수령 후 환불이나 교환은 불가하니 신중하게 선택하세요.
왜 고향사랑기부제를 해야 할까?
고향사랑기부제는 단순한 기부를 넘어, 지역 균형 발전을 위한 ‘참여’입니다. 도시 집중 현상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는 지방에 힘을 실어줄 수 있는 가장 실질적이고 직접적인 방법 중 하나죠. 또한 나의 고향, 혹은 내가 응원하고 싶은 지역에 따뜻한 응원을 전할 수 있는 기회이기도 합니다.
Q&A
Q. 고향사랑기부제는 누구나 참여할 수 있나요?
A. 네, 대한민국 국민 누구나 참여 가능하며, 주민등록 주소지가 아닌 지역에만 기부할 수 있습니다.
Q. 기부 후 어떤 혜택을 받나요?
A. 세액공제와 더불어 지역 특산물, 상품권, 체험권 등 다양한 답례품을 선택할 수 있습니다.
Q. 답례품은 언제 받을 수 있나요?
A. 기부 완료 후 일반적으로 7~15일 이내에 발송됩니다. 다만 지역 및 품목에 따라 상이할 수 있습니다.
Q. 법인도 참여할 수 있나요?
A. 아니요, 현재는 개인만 참여 가능하며 법인은 대상에서 제외됩니다.
Q. 기부금은 어디에 쓰이나요?
A. 청년·노인 복지, 교육, 문화, 지역경제 활성화 등 공익 목적에 사용됩니다.
‘고향사랑기부제’는 나눔과 혜택을 동시에 잡을 수 있는 착한 제도입니다. 내가 좋아하는 지역을 응원하며, 실질적인 세제 혜택과 함께 풍성한 답례품도 받을 수 있는 기회! 지금 바로 고향사랑e음에 접속해 여러분만의 고향에 따뜻한 응원을 보내보세요. 작지만 큰 변화, 여러분의 참여로 시작됩니다.
'정보 100'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5년 7월 22일부터 달라지는 단통법 확인 (0) | 2025.07.20 |
---|---|
보령시 머드축제체험 공짜로 가기 고향사랑기부제! (1) | 2025.07.18 |
2025 월드디제이페스티벌 신청, 일정, 보령머드축제 (5) | 2025.07.18 |
세종 이응패스 신청 (2) | 2025.07.18 |
광주 G패스, K 패스 광주 (2) | 2025.07.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