차량 가격
(출고가 기준)

개별

소비세
(5%)

감면액

적용 후
납부액

교육세
(30% 기준)
취득세
(7%)
취득세
감면액
총 세금 감면
예상액
4,000만 원 200만 원 0원 (전액 감면) 0원 280만 원 140만 원 440만 원
5,000만 원 250만 원 0원 (전액 감면) 0원 350만 원 140만 원 465만 원
6,000만 원 300만 원 0원 (전액 감면) 0원 420만 원 140만 원 530만 원
7,000만 원 350만 원 50만 원 15만 원 490만 원 140만 원 530만 원
8,000만 원 400만 원 100만 원 30만 원 560만 원 140만 원 530만 원

 

* 위 표는 대략적인 내용이며 정확인 금액은 자동차마다 다르므로 참고만 해 주세요.

 

 

실제 차량별 세금 감면 예시

 

실제로 어떻게 적용될지 궁금하시죠?  궁금증을 담아 예시를 작성해 보았습니다.

 

 

① 기아 니로 EV (출고가 약 4,800만 원)
→ 개별소비세: 약 240만 원 → 전액 감면
→ 교육세: 0원
→ 취득세: 약 336만 원 중 140만 원 감면

 

 

 

② 현대 아이오닉5 롱레인지 (출고가 약 5,500만 원)
→ 개별소비세: 약 275만 원 → 전액 감면
→ 교육세: 0원
→ 취득세: 약 385만 원 중 140만 원 감면

 

 

 

③ 기아 EV6 GT-Line (출고가 약 6,500만 원)
→ 개별소비세: 300만 원 → 전액 감면
→ 교육세: 0원
→ 취득세: 약 455만 원 중 140만 원 감면


(*출고가는 연도와 옵션선택에 따라 달라질 수 있습니다.)

 

 

 

 

전기차 세금감면 금액확인 차량확인전기차 세금감면 금액확인 차량확인전기차 세금감면 금액확인 차량확인

 

 

 

내가 구매하고 싶은 차량은 혜택이 적용될까?

 

전기차 취득시 감면되는 세금 대상 차량은
[환경친화적 자동차의 개발 및 보급 촉진에 관한 법률]에 따라 확인할 수 있습니다.

내가 구매하고 싶은 차량이 적용되는지 확인하고 싶다면
아래에서 확인해 주세요.

 

 

 

 

 

사고 싶은 전기차가 대상이 되는지 잘 확인하셨나요?

도움되셨길 기대합니다!

Q&A



Q1. 감면은 자동 적용되나요?


A. 네, 차량 구매 시 세무 신고 과정에서 자동 반영됩니다. 단, 차량이 정부 기준을 충족해야 합니다. 따로 신청하지 않아도 된다니 정말 다행입니다.

 

Q2. 중고 전기차도 감면받을 수 있나요?


A. 아니요. 세금 감면은 ‘신차 구매’에만 적용됩니다.

 

Q3. 보조금과 세금 감면은 중복되나요?


A. 네. 국고보조금과 세금 감면은 별개로 중복 지원됩니다.

 

Q4. 세금 감면은 언제까지 받을 수 있나요?


A.  현재는 2026년 12월 31일까지 이지만 해마다 조건이 바뀌므로 꼭 확인해햐 합니다. 

 

Q5. 지자체 마다 받을 수 있는 혜택이 다른 가요? 



 

지금이 전기차 타기 가장 좋은 순간

 

지금 전기차를 구입하면

✅ 정부 세금 감면

국고 보조금

✅ 유지비 절약

이 모든 혜택을 한 번에 누릴 수 있습니다.

(국고 보조금 관련 추후 포스팅하겠습니다^^)

 

특히 연비 걱정 없는 전기차 시대에 세금까지 줄여주는 제도는 더 이상 기다릴 이유가 없습니다.

 

전기차, 살까 말까 고민 중이셨다면 지금이 바로 기회입니다.

 

 

전기차 세금감면 금액확인 차량확인전기차 세금감면 금액확인 차량확인전기차 세금감면 금액확인 차량확인
전기차 세금감면 금액확인 차량확인전기차 세금감면 금액확인 차량확인전기차 세금감면 금액확인 차량확인
전기차 세금감면 금액확인 차량확인전기차 세금감면 금액확인 차량확인전기차 세금감면 금액확인 차량확인

 

 

 

 

*함께 보면 좋은 글

 

2025년 서울시 전기차 보조금 총정리 신청방법 추가보조금

 

2025년 서울시 전기차 보조금 총정리 신청방법 추가보조금

2025년 하반기 서울시 전기차 보조금 신청이 시작되었습니다. 승용차 기준 최대 630만원까지 지원되며, 다양한 추가 인센티브까지 제공됩니다. 전기차를 구매할 예정이시라면 꼭 보고 가야할 내

richtree777.com

 

 

2025 주민세 납부 방법 납부기간

 

2025 주민세 납부 방법 납부기간

“2025년 8월 31일까지 안 내면 가산세가 붙습니다” 2025년 8월은 주민세 납부가 시작됩니다. 개인과 사업자 모두에게 부과되는 지방세로 정해진기간에 납부해야 가산세 없이 납부가 가능합니다.

richtree777.com

서울형 이음공제 신청방법 신청기간 준비서류

 

서울형 이음공제 신청방법 신청기간 준비서류

중장년 조기 퇴직 나이는 평균 49.4세 쉬었음 청년인구는 50만 명을 돌파한 것으로 나타나고 있습니다. 중소기업은 인력 부족 문제를 청년은 취업의 어려움을 겪고 있습니다. 이를 보완하기 위한

richtree777.com

 

 

반응형

'정보 100'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5 경기도 청년 복지포인트 2차, 청년노동자 통장 신청방법  (12) 2025.08.03
2025년 서울시 하반기 전기차 보조금 총정리 신청방법 추가보조금  (6) 2025.08.02
수능 D-day 앱 TOP 3 비교  (5) 2025.08.01
오늘의 고철 시세 확인 TOP3  (9) 2025.08.01
2025 주민세 납부 방법 납부기간  (7) 2025.08.01